반응형
1. 닭
과학자들이 모기에 잘 물리는 가축을 알아내기 위해 소, 양, 닭을 한 우리에 넣고 실험을 진행했다고 합니다.
실험 결과 소와 양은 많은 모기에 물어뜯긴 반면, 닭에게는 모기의 흔적을 전혀 찾을 수 없었다고 합니다.
알고 보니 닭털에서 나는 특유의 냄새(나프탈렌, 헥사데칸 등)가 있는데, 이 냄새가 모기의 접근을 막은 것이라고 합니다.
2. 선풍기
모기는 날개가 약해 비행속도가 느리다고 합니다. 모기의 시속은 약 1.6~2.4km
뿐만 아니라 긴 날개와 다리 때문에 바람의 영향을 많이 받는데, 선풍기 바람(약풍) 바람에도 모기가 잘 밀려나간다고 합니다.
여담으로 모기의 최고 비행 높이 또한 높지 않다고 합니다. 비행 높이 약 7~8m(아파트 2~3층)
그런데 15층 이상의 고층 아파트에 사는 사람들도 모기에 잘 물린다고 합니다. 그 이유를 살펴보니 사람이 아파트 엘리베이터를 타고 올라갈 때 모기도 함께 이동한 것이라고 합니다.
3. 캣닢
모기 퇴치제의 주요 성분으로 알려진 디트(DEET)가 고양이풀로 알려진 캣닢에 10배나 더 들어있다고 합니다.
모기가 많은 곳에 캣닢을 키우거나 자기 전 팔, 다리에 캣닢 오일만 발라줘도 모기 퇴치에 효과를 볼 수 있다고 합니다.
반응형
'이슈거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펀치가 스치기만 해도 KO 되는 이유 (0) | 2017.07.06 |
---|---|
UFC 선수들이 계체량에서 도발하는 이유 (0) | 2017.07.06 |
차두리가 차범근을 뛰어넘지 못했던 이유 (0) | 2017.07.04 |
우리나라 사람들이 삼겹살을 많이 먹게 된 이유 (0) | 2017.07.03 |
흰머리와 대머리는 유전이다? (0) | 2017.07.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