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본론에 앞서, 우리가 익히 알고 있는 한우는 사실 토종이 아니라고 합니다. 때는 세조 7년, 오키나와 물소를 들여와 전통 한우와 교배했는데, 이것이 지금의 한우라고 합니다.
사실 토종 한우는 황소만 있는 것이 아니라, 칡소, 흑우, 적우 등이 존재했는데, 대부분 한국전쟁을 겪으면서 개체 수가 급감했거나 멸종했다고 합니다.
특히, 제주의 토종 한우인 흑우는 일제강점기 시절 강제 징발을 당하면서 개체 수가 급감했다고 합니다.
일본은 (675~1872년)약 1,200년 동안 육식이 금지였는데, 이후 육식 금지령이 해제되면서 맛과 품질이 우수한 제주 흑우를 징발했다고 합니다.
실제로 세종실록을 보면 "제주 흑우는 고기 맛이 우수하여 삼명일(임금의 생일, 동지, 정월 초하루)에 진상품 및 나라의 제사를 지내는 제향품으로 공출하였다"고 합니다.
이로 인해 현재 일본에 흑우가 많은 것이라고 합니다. 끝으로, 제주 흑우는 천연기념물 제546호로 지정되어 (종자 복원)보존-관리 중에 있다고 합니다.
반응형
'이슈거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고양이가 목욕(물)을 싫어하는 이유 (0) | 2017.11.17 |
---|---|
'공기밥' 식당 밥그릇 크기가 다 똑같은 이유 (0) | 2017.11.14 |
'처세술' 직장 동료 구별하는 방법 (0) | 2017.11.11 |
반려견이 번화가만 가면 흥분하는 이유 (0) | 2017.11.11 |
지문인식을 여러 손가락으로 등록해야 하는 이유 (0) | 2017.11.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