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본론에 앞서, 편의점을 들어가면 담배는 계산대에, 음료는 뒤쪽에 진열되어 있다는 공통점을 찾을 수 있는데, 그렇게 진열해 놓은 이유가 있다고 합니다.
편의점에서 담배 매출을 제외하고 나면, 음료와 유제품이 가장 높은 매출을 올리는데, 매출이 높은 상품일수록 최대한 멀리 배치한다고 합니다.
그 이유는 최대한 동선을 멀리하여, 음료 구입 후 계산대로 오는 동안, (라면, 과자 등)생각에 없던 상품을 추가 구입을 하기 위해서라고 합니다.
이런 이유로, '편의점 ATM기'도 가장자리에 배치되어 있는 것인데, 현금 인출 후 나가면서 추가 구입을 유도하기 위한 전략이라고 합니다.
참고로, 인기가 많은 상품일수록 위쪽에, 사람 눈에 잘 보이는 쪽에 진열해 놓는데, 이를 '골든 존'이라고 부른다고 합니다.
겨울에는 컵라면, 휴지를 골든 존에 배치하고, 여름에는 물티슈, 비빔면과 같은 상품을 배치하는데, 이렇게 기후에 따라 상품도 바뀐다고 합니다.
그 밖에 관련성이 높은 상품들은 같이 진열하여 판매를 유도하는데, 예를 들어 와인+안줏거리, 화투+카드 등이 대표적이라고 합니다.
(ⓒ 해볼라고 변산 도깨비)
반응형
'이슈거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편의점 도시락에는 왜 '볶음 김치'만 들어있을까? (0) | 2019.02.27 |
---|---|
제주 한라산 '올레길 9코스'에 대해 몰랐던 사실 (0) | 2019.02.26 |
뮤지션들이 '백종원'을 롤모델로 삼고 있는 이유 (0) | 2019.02.16 |
'5만 원권' 유력 모델로 거론되었던 유관순이 보류된 이유 (0) | 2019.02.09 |
고깃집에서 '고추장 양념구이'가 사라진 이유 (0) | 2019.02.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