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대개 나쁜 감정이 들거나, 안 좋은 상황을 겪을 때 "이런 개같은" "개싫어" 등의 욕설을 하는데, 이처럼 '개'가 나쁜 대명사로 쓰이게 된 역사적인 이유가 있다고 합니다.
결론부터 말하자면 '유교문화'와 관련이 있는데, (종진회 안에서 결혼)과거 신라시대 때는 왕실이나 귀족층에서는 골품제도 유지와 왕권 강화를 위한 '근친혼'이 많았다고 합니다.
(유교문화)이후 조선시대가 들어서면서 근친혼처럼 도덕적으로 비난받을 수 있는 일체의 행위를 지칭할 때, (본능)촌수를 따지지 않고 교배를 하는 개를 빗대었는데, 이때부터 '개'가 나쁜 대명사로 쓰이게 되었다고 합니다.
(ⓒ 방구석1열 역사스페셜 내부자들)
반응형
'이슈거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연애 꿀팁' 손 잡는 모양으로 본 남녀의 주도권 (0) | 2018.05.16 |
---|---|
우리가 몰랐던 '속설'의 반전 효과 (0) | 2018.05.14 |
내가 '진보적인' 사람인지, '보수적인' 사람인지 알아보는 방법(ft. 김경일) (0) | 2018.05.12 |
'김관장' 김종국이 알려주는 쉽고 간단한 다이어트 방법 (0) | 2018.05.10 |
프랑스에 '명품 브랜드'가 많은 이유 (0) | 2018.05.08 |